LiveKiosk를 선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메뉴얼은 LiveKiosk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실력도, 시간도 부족해서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부분이 많은 점 죄송합니다..

이 메뉴얼은 오락실 등 영업장에서 사용하는 것을 가정하고 쓰여졌지만, 라이브캠, 개인 방송컴 등에서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능은 켜고 끌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필요 없는 기능은 끄시면 됩니다.

<aside> ⚠️

LiveKiosk는 아직 Google의 허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Google의 허가를 받기 전까진, 제 계정의 채널에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배포는 Google의 허가가 떨어진 이후 가능할 것 같습니다. 허가는 6월 경 받을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두 번 거절 떠서 언제 될 지 모르겠습니다. 이것들 자동화를 싫어하나..? 허가가 나오기 전까지는, 아래의 ‘Google API Client-Secret 발급받기’ 문단을 참고해 직접 Client-Secret을 발급해주세요.

</aside>

<aside> ❗

스트리밍을 위해 필요한 것들을 미리 설치해 주세요. 이 메뉴얼에서는 프로그램 설치 방법만 알려드립니다.

<aside> ✅

v4.0.0부터는 Git이 내장되어, 더 이상 설치하실 필요 없습니다.

</aside>

설치 준비하기

인스톨러 다운받기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인스톨러를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편하신 폴더에 압축을 해제해주세요.

amene.co

참고로 amene.co는 심플한 메인 페이지(…)에서도 아실 수 있듯, 제 소유의 도메인입니다. 안심하고 받아주세요.

OBS Studio 다운받고 설정하기

OBS는 무료로 스트리밍과 녹화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무료지만 강력한 기능과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유튜버에게 표준처럼 쓰이는 프로그램입니다. 유튜브, 로지텍, 트위치, NVIDIA, Intel, AMD, 야마하 등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알 정도의 대기업이 후원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한국, 일본을 포함한 전세계의 수많은 오락실에서 방송 소프트웨어로 OBS Studio를 사용 중이고, 노량진 어뮤즈타운에서 사용 중인 R사 소프트웨어, (구)상봉 아케이즘에서 사용했던 자체개발 소프트웨어, 경상권 일부 오락실에서 사용 중인 A사 소프트웨어도 OBS Studio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Open Broadcaster Software | OBS

위의 링크를 클릭해 OBS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면 가운데에 크게 다운로드 버튼이 보입니다. OS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해주세요.

image.png

<aside> ❓

OBS Studio는 어떤 버전부터 지원하나요?

사실 LiveKiosk의 OBS Studio 스크립트는 거의 껍데기에 불과해서 25버전 이상이면 돌아가긴 할 것 같습니다. 다만,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한 것은 30.2.2 버전 이상입니다. 가능하면 최신 버전을 설치해주세요.

</aside>

OBS를 설치한 후, 원하시는 대로 방송 레이아웃을 꾸며주세요.

추천하는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플랩 weflab

https://github.com/sorayuki/obs-multi-rtmp

OBS 세팅 가이드는 여유로워지면 적어보겠습니다.

<aside> ⚠️

OBS Studio 설정에서 PC를 시작할 때 OBS Studio를 자동으로 시작하는 설정은 켜지 말아주세요. LiveKiosk가 부팅할 때 자동으로 환경 등을 설정한 다음 OBS를 실행합니다. 만약 OBS Studio가 먼저 켜지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aside>

Google API Client-Secret 발급받기

<aside> ✅

스카이웨어로부터 Client-Secret을 제공받으신 분은 건너뛰셔도 됩니다.

</aside>

LiveKiosk 설치하고 설정하기

image.png

인스톨러를 다운받고 압축을 해제하셨으면, 위와 같이 4개의 파일이 보이실 것입니다. 이 중 실행할 파일은 python-3.12.10-amd64.exeInstaller.bat의 2개입니다. 나머지 파일(git 폴더, Pretendard 폰트 파일)은 인스톨 과정 중 알아서 설치 폴더로 복사됩니다.

Python 3.12.10 설치하기

LiveKiosk는 Python이란 언어로 프로그래밍되어 있습니다. Python은 문법이 쉽고 확장 기능이 많아 많은 개발자의 선택을 받고 있지만, Windows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있지 않아 C 등으로 프로그래밍된 대부분의 프로그램과 다르게 Python을 설치해야만 실행할 수 있습니다.

LiveKiosk 인스톨러에 포함되어 있는 python-3.12.10-amd64.exe 파일을 열어주세요.

<aside> ❓

PyInstaller을 사용해 exe 파일로 배포해도 되지 않나요?

OBS Studio 안에서 Python 스크립트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OBS와 Python을 연결시켜야 합니다. PyInstaller은 exe 파일 안에 자체 Python 인터프리터를 내장하고 있는 방식이라, OBS와 연결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저는 자체 배포 서버를 가지고 있지 않아, Git을 기반으로 배포를 하고 있습니다. PyInstaller은 Git 방식으로는 배포가 어렵습니다.

</aside>

<aside> ❓

어떤 파이썬 버전을 설치해야 하나요?

3.0버전 배포일(2025년 7월 26일) 기준, 동작이 확인된 버전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통 두 번째 숫자까지 같으면 서로 호환되므로, 3.12.* 버전 중 하나를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특별히 문제가 없으면 인스톨러에 포함된 3.12.10버전을 사용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aside>

image.png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위의 사진처럼 나올 것입니다. (버전은 다르고 NOTE 부분도 없습니다) 반드시 Add python.exe to PATH를 선택한 다음 Install Now를 눌러주세요. (기본적으로 선택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시작 버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면 뜨는 메뉴에서 명령 프롬프트(또는 터미널, Windows PowerShell)를 열고, python -V (V는 대문자)를 입력해보세요. 아래 사진처럼 버전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만약 나오지 않는다면, 제거하고 다시 설치해주세요.

image.png

LiveKiosk 설치하기

다음으로 설치 프로그램에 있는 Install.bat을 열면, 자동으로 LiveKiosk와 그 외 구성 요소의 설치가 진행됩니다.

<aside> 💡

Python 3.13~14버전에서 필수 라이브러리 설치 중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해주세요.

python -m pip install git+https://github.com/pydantic/pydantic.git
python -m pip install -r %localappdata%\\SkyWare\\LiveKiosk\\requirements.txt
python %localappdata%\\SkyWare\\LiveKiosk\\src\\run_once.py

</aside>

DB 최초 설정하기

시작 메뉴(Windows 11 이상의 경우 시작 메뉴의 ‘모든 앱’)에 LiveKiosk라는 폴더가 새로 생겼을 것입니다. LiveKiosk 폴더 안에 있는 LiveKiosk 설정 파일을 클릭해 열어주세요. 설정 내용은 일정 주기마다 저장됩니다. 중간에 오류 등의 이유로 프로그램이 닫혀도, 중단되었던 부분에서 이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비밀번호 설정

image.png

맨 처음 설정 파일을 열면, 비밀번호를 생성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이 비밀번호는 LiveKiosk의 설정 창에서 사용할 비밀번호입니다. 한 번 설정하면 저조차 쉽게 해독하기 어려울 정도로 암호화되니, 비밀번호를 잊지 않게 주의해주세요.

client_secret 내용 입력

image.png

아까 발급받았던(또는 저한테 받은) client_secret.json을 메모장으로 연 다음, 해당 파일의 내용을 위의 입력 칸에 붙여넣기해 주세요.

YouTube API 연동

image.png

아래의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 버튼을 누른 다음, 로그인을 진행해주세요. 그러면 LiveKiosk API에 권한을 부여하는 창이 나올텐데, 표시된 모든 권한을 부여해주세요.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고 권한이 부여되면, 화면에 채널 명과 스트림 키가 표시됩니다.

OBS 프로파일, 장면 선택

image.png

설치된 OBS Studio의 설정 파일 위치와 사용중인 프로파일, 장면을 선택해주세요. 사용중인 프로파일과 장면은 제목 표시줄에 표시됩니다. 잘 모르시면 그냥 넘어가셔도 됩니다.

점포명, 기기명 입력

image.png

LiveKiosk 내외부에 표시될 점포명과 기기명을 입력해주세요. 위쪽 두 칸은 프로그램 내부의 초기화 창과 OBS Studio 위젯에서, 아래쪽 두 칸은 스트리밍 제목과 설명에서 {center}{device} 변수를 입력했을 때 표시됩니다. 표시하고 싶지 않으시면 넘어가셔도 무방합니다.

영업시간 설정

image.png

영업시간을 설정해주세요. PC를 자동으로 켜는 건 지원되지 않지만, 영업시간이 아닐 때 컴퓨터가 켜지면 자동으로 종료할 수 있고, 설정된 시간에 맞춰 스트리밍과 PC를 종료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PC 전원을 IoT 멀티탭, 타이머 콘센트 등으로 관리하시는 경우, 전원 차단 시간보다 5~10분 정도 여유롭게 설정해주세요. Windows 업데이트 등 때문에 컴퓨터를 종료하는 데 오래 걸릴 수 있고, 컴퓨터가 완전히 꺼지기 전에 전원이 차단되어 하드 디스크의 헤더가 플래터를 긁는 일이 반복되면 최악의 경우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실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변경할 요일을 선택하고, 설정할 항목을 선택하고, 설정할 시간을 입력하고, 변경 버튼을 누르면 위쪽 표에 변경됩니다. (위쪽 표에서 직접 수정하실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월~금요일의 영업 시작 시간을 07시 50분, 영업 종료 시간을 05시 10분으로 설정하고 싶으신 경우,

  1.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에 체크
  2. 영업 시작시간, 영업 종료시간 옆의 체크박스에 체크
  3. 각각의 시간 입력 칸에 07:50, 05:10을 입력 (시 부분을 더블 클릭하면 시 부분이 파랗게 변하면서 선택이 되고, 그 상태에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4. 변경 버튼 클릭

<aside> ❓

금요일의 영업을 자정이 지난 새벽 1시에 종료하는데, 그러면 어떻게 설정해야 하나요?

LiveKiosk는 밤샘 영업을 하는 오락실의 실정에 맞춰, 30시간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0시 0분~5시 59분까지의 시간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다음날 새벽으로 인식합니다. (즉, 금요일 01:00은 금요일 자정이 지난 토요일 새벽 01:00으로 인식) 따라서 그런 경우엔 금요일의 영업 종료시간을 01:00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aside>

<aside> ⚠️

영업 시작시간이 영업 종료시간보다 늦은 경우, LiveKiosk가 오작동하게 됩니다. 주의해주세요.

특히 영업을 6시 이전에 시작하는 경우, 영업 시작 시간을 다음날 새벽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일요일 영업 시작시간이 05:30이고 영업 종료시간이 21:00인 경우, 월요일 새벽 05:30에 영업을 시작해 일요일 저녁 21:00에 영업을 종료하는 것으로 인식해 오류 발생) 그런 경우에는 아래쪽의 연락처를 통해 저에게 영업시간을 적어서 맞춤형 버전을 요청해주세요. (틈틈이 빈 시간에 작업하기 때문에 3일에서 일주일 정도 걸리며, 비용은 무료입니다)

</aside>

기본 기능 설정

image.png

영업시간이 종료될 때 스트리밍과 PC를 자동으로 종료하고, 영업시간이 아닐 때 PC가 켜지면 자동으로 PC를 종료하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을 켜시려면 옆쪽의 체크박스를 클릭해 체크 표시를 해주세요.

오래된 녹화 파일을 자동으로 삭제하는 기능합니다, 체크박스를 클릭해 체크한 다음, 폴더 선택 버튼을 눌러 녹화 파일이 저장되는 폴더를 선택하고, 아래쪽에 며칠동안 보관하고 지울지 입력해주세요.

스트리밍 설정

image.png

YouTube 정책 변경으로, 더 이상 스트리밍이 자동으로 생성되지 않습니다. 스트리밍을 하기 위해선 매번 YouTube Studio의 라이브 스트리밍 대시보드에 접속하거나 외부 프로그램으로 스트리밍을 생성해줘야 합니다. LiveKiosk는 완전한 무인화 스트리밍을 위해, 자동으로 스트리밍을 생성하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시려면, 맨 위쪽 체크박스에 체크해주시고 스트리밍 제목과 설명을 입력해주세요.